임진왜란은 1592년 (선조 25년) 4월 일본이 침략한 전쟁으로 임진년에 발생하였다 하여 '임진왜란'이라고 부릅니다. 1597년 정유년에 2차 침략이 있었기에 이를 '정유재란'이라고 부르지만 보통 '임진왜란'이라 하면 '정유재란'까지 포함합니다. '임진왜란'은 7년에 걸쳐 벌어진 전쟁이어서 '7년 전쟁'이라고도 합니다.
임진왜란 3대 대첩 ( 진주 대첩, 행주 대첩, 한산도 대첩 )
임진왜란이 터졌을 당시 선조는 도성을 버리고 피난을 떠났지만 이순신 장군, 권율 장군과 같은 지도자들과 전국의 백성들이 의병으로 참전하여 나라를 침략한 왜군들과 맞서 싸웠습니다. 많은 전투 중 크게 승리한 전투가 있는데 이를 임진왜란 3대 대첩이라고 합니다.
1. 진주 대첩
김시민 장군이 이끈 진주 대첩은 의녀 논개의 일화로 유명합니다.
진주성은 경상도에서 전라도로 가는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습니다.
1차 전투>
1592년 10월 왜군 3만여 명은 진주성을 공격하였습니다. 진주 목사 김시민과 4,000명이 안 되는 조선군은 백성들과 힘을 합쳐 왜군과 싸우며 성을 방어했습니다. 6일간의 치열한 전투 끝에 왜군은 큰 피해를 입고 물러났습니다. 진주 목사 김시민은 총에 맞고 사망하였으나 진주성은 지킬 수 있었습니다.
2차 전투>
1593년 왜군은 7만여 명의 대규모 군사를 이끌고 다시 진주성을 공격하였습니다. 수천 명의 조선군과 백성들이 치열하게 싸우며 맞섰지만 결국 9일 만에 왜군에게 함락당했습니다. 이때 조선군 지휘관들과 병사들은 대부분 전사하였으며 왜군 역시 큰 피해를 입어 진격하지 못하고 되돌아갔습니다.
2. 행주 대첩
1593년 5월 12일 왜군 3만여 명이 행주산성을 포위하였습니다. 권율 장군과 조선군 1만 여명은 왜군의 공격에 대비하여 성벽을 정비하고, 특수 무기를 만들고, 목책을 쌓는 등 적의 공격에 대비하였습니다. 왜군의 공격에 조선군은 물론이고 백성들도 합심하여 맞서 싸웠는데 이때 부녀자들도 참여하였습니다. 치마를 잘라 짧게 만든 행주치마로 돌을 담아 날라 투석전을 도왔다고 합니다.
3. 한산도 대첩
1592년 7월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한산도 앞바다에서 왜군의 수군을 크게 물리친 전투입니다. 이순신 장군은 판옥선을 이용하여 거짓 후퇴로 적의 배를 한산도 앞바다로 유인하였습니다. 학익진 전술을 펼쳐 적을 공격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이 승리는 조선 수군이 남해안의 제해권을 확보함은 물론 조선군의 사기를 진작시켜주었습니다.
[list] - 우리나라의 3대 대첩 (살수 대첩, 귀주 대첩, 한산도 대첩)
우리나라의 3대 대첩 (살수 대첩, 귀주 대첩, 한산도 대첩)
대첩(大捷)이란 크게 이긴다는 의미입니다. 우리나라 역사 속에 많은 승리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3대 대첩으로 꼽히는 것이 있습니다. 을지문덕 장군의 살수 대첩, 강감찬 장군의 귀주 대첩, 이순
view22.tistory.com
'l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식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0) | 2022.05.26 |
---|---|
원숭이, 고릴라, 오랑우탄, 침팬지 중 꼬리가 있는 것은? (0) | 2022.05.24 |
우리나라의 3대 대첩 (살수 대첩, 귀주 대첩, 한산도 대첩) (0) | 2022.05.16 |
가족 친척 촌수에 따른 호칭 정리 (0) | 2022.05.11 |
다오 DAO 의 의미 (0) | 2022.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