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자녀가 1명이나 2명인 가정이 많아서 친척간의 촌수와 부르는 호칭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명절이나 가족 행사에서 먼 친척을 만나면 어떻게 불러야 할지 몰라 당황한 경험이 있을 겁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촌수에 따른 친척 호칭을 미리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족 친척 촌수에 따른 호칭 정리
촌수는 친족 간의 거리를 나타내기 위한 체계입니다. 가계도에서 세로 가지 하나를 1촌씩 계산합니다. 보통 직계존비속과 형제자매 사이에는 촌수를 따지지 않으며 방계혈족과의 관계에서 세수를 적용합니다.
1촌
* 나의 아버지 - 부, 아버지
* 나의 어머니 - 모, 어머니
* 나의 자녀
2촌
* 아버지, 어머니의 아버지 - 조부, 할아버지 / 외조부, 외할아버지
* 아버지, 어머니의 어머니 - 조모, 할머니 / 외조모, 외할머니
* 형제, 자매
* 나의 자녀의 자녀 - 손
3촌
* 아버지의 할아버지 - 증조부, 증조할아버지
* 아버지의 형 (배우자) - 백부, 큰아버지 (백모, 큰어머니)
* 아버지의 동생 (배우자) - 숙부, 작은아버지 (숙모, 작은어머니)
* 아버지의 여자형제 (배우자) - 고모 (고모부)
* 어머니의 남자형제 (배우자) - 외숙, 외삼촌 (외숙모)
* 어머니의 여자형제 (배우자) - 이모 (이모부)
* 나의 형제, 자매의 자녀 - 질, 조카 / 생질, 조카
4촌
* 할아버지의 형제 / 자매 - 종조, 큰할아버지 / 대고모, 고모할머니
* 아버지의 형제, 자매의 자녀 - 종형제, 사촌/ 내종형, 고종사촌
* 어머니의 형제, 자매의 자녀 - 외종형제, 외사촌 / 이종형제, 이종사촌
* 나의 조카의 자녀 - 종손 / 이손
5촌
* 할아버지 형제, 자매의 자녀 (아버지의 사촌형제) - 종백숙부, 당숙 / 내종숙
* 외할아버지 형제, 자매의 자녀 (어머니의 사촌형제) - 외종숙, 외당숙 / 외내종숙
* 나의 친가 사촌형제의 자녀 - 종질, 사촌조카 / 내종질, 사촌조카
* 나의 외가 사촌형제의 자녀 - 외종질, 사촌조카 / 이종질, 사촌조카
법적으로는 8촌까지를 친척으로 구분하는데 핵가족화된 현대사회에서는 8촌까지 알고 지내는 경우는 드문 것 같아 5촌까지만 정리해 보았습니다.
친척의 범위와 수가 줄어듦에 따라 요즘은 친가와 외가 또는 남자형제, 여자형제에 따른 구분을 하지 않고 공통으로 부르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l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진왜란 3대 대첩 ( 진주 대첩, 행주 대첩, 한산도 대첩 ) (0) | 2022.05.19 |
---|---|
우리나라의 3대 대첩 (살수 대첩, 귀주 대첩, 한산도 대첩) (0) | 2022.05.16 |
다오 DAO 의 의미 (0) | 2022.05.09 |
불혹 지천명 이순 나이별 호칭 (이칭) (0) | 2022.05.06 |
어린이날 100주년 어린이날 노래 (0) | 2022.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