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st

아파트 화재 발생 시 피난 행동 요령

by 뷰22 2023. 12. 28.

 

내가 사는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무작정 현관문을 열고 대피하기보다는 화재 발생 상황에 맞게 행동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아파트의 경우 대피과정에서 계단 및 통로에 의한 굴뚝효과로 유독 가스가 확산하여 연기흡입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화재 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소방청은 화재 대피 방법을 담은 '아파트 피난안전대책 개선 매뉴얼'을 전국 아파트 등에 배포한다고 27일 밝혔습니다. 

 

 

   

 

아파트 피난안전대책 개선  매뉴얼

 

▶ 자기집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 불길과 연기의 영향 없이 현관을 통해 대피할 수 있는 상황이면 계단을 이용해 낮은 자세로 지상층이나 옥상 등 가장 가까운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대피 시 출입문을 닫고, 엘리베이터는 타지 않는다. 비상벨을 누르고 119에 신고한다.

 

● 대피가 어려운 경우에는 대피 공간이나 경량칸막이, 하향식 피난구 등이 설치된 곳으로 대피 또는 욕실로 이동하여 대기하며 구조를 기다린다. 이때 욕실의 수도꼭지를 열어 물이 흐르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화염, 연기로부터 멀리 이동 대피 후 문의 틈새를 막는다. 119로 현재 위치, 상황을 알리고 구조를 요청한다.

 

 

 

 

▶  다른 집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 자기집으로 불길 또는 연기가 들어오지 않는다면 세대 내에서 대기하며 화재 상황을 주시하고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는 것이 좋다. 119에 신고하고 안내방송에 따라 행동한다.

 

● 자기 집으로 불길이나 연기가 새어 들어오는 경우라면 밖으로 대피가 가능한 상황에서는 지상과 옥상 등 가장 가까운 곳으로 대피하고, 화염 또는 연기로 대피가 어려운 상항에선 문을 닫은 뒤 젖은 수건 등으로 틈새를 막고, 대기하며 구조를 기다리는 것이 안전하다.

 

 

아파트-사람-화재
아파트 화재 발생 시 피난 행동 요령

 

 

▶ 소화기 사용법

 

1. 안전핀을 뽑는다

2. 실외는 바람을 등지고, 실내는 탈출할 문을 등지고 서서 호스를 불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3. 손잡이를 힘껏 움켜쥔다.

4. 불이 난 곳에 빗자루로 쓸 듯이 골고루 뿌린다.

 

※ 투척용 소화기

1. 커버를 벗긴다

2. 소화기를 꺼낸다

3. 불을 향해 던진다

 

119에 구조요청을 할 때에는 세대· 동 · 호수 등 자신의 위치와 불길, 연기 등 현재 상황을 알려주는 것이 신속한 구조 활동에 도움이 된다.

 

(자료: 소방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