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다', '돼다' 어느 쪽이 맞춤법에 맞을까요?
한글이 쉽다지만 이렇게 맞춤법이 헷갈리는 글자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되'와 '돼'는 자주 쓰는 말임에도 쓸 때마다 어느 쪽을 써야 할지 헷갈립니다.
올바른 맞춤법 되다 VS 돼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해보면 '돼다'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그러면 '돼다'라는 단어가 없으니 '되서', '됬고', '됬다'가 모두 맞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돼'는 '되어'의 준말입니다.
그러므로 '돼'가 사용될 때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되'로 쓰는 것이 옳지는 않습니다.
그러면 어떤 경우에 '되'가 사용되고 어떤 경우에 '돼'가 사용될까요?
간단하게 구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되'와 '돼' 자리에 '하'와 '해'를 넣어서 자연스러운 쪽이 맞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하다'와 '해다' 중 자연스러운 쪽은 '하다'입니다. 그러므로 '되다'와 '돼다' 중 맞는 것은 '되다'가 됩니다.
'핬다'와 '했다' 중 자연스러운 쪽은 '했다'이므로 '됬다'가 아니라 '됐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되니 O 돼니 X
되고 O 돼고 X
됬고 X 됐고 O
그러면 '안 되'와 '안 돼' 중 어느 쪽이 맞는 표현일까요?
'하'와 '해'를 넣어보면 '안 하'와 '안 해'가 되므로 '안 돼'가 맞습니다.
안된다 O 안됀다 X
안되서 X 안돼서 O
안되요 X 안돼요 O
'l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료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피부양자) 부과 기준 개편 9월부터 적용 (0) | 2022.07.07 |
---|---|
커피 배추 쌀 한약재 음식물 쓰레기일까? (0) | 2022.07.06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대상과 방법 (0) | 2022.07.01 |
근로자 휴양 콘도 근로자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 (0) | 2022.06.29 |
장마철 빨래 냄새 안 나게 세탁 건조 방법 (0) | 2022.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