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이 되면 걱정되는 것 중 하나가 땀띠입니다. 몸에 열이 많거나 활동량이 많아 땀이 많이 나는 사람들, 그리고 땀이 많은 어린아이를 키우는 집에선 특히 땀띠가 날까 걱정이 많을 겁니다. 땀띠가 안 나도록 예방하는 방법과 땀띠가 났을 때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땀띠 예방과 치료 방법
땀띠란
땀띠는 주변의 환경이 고온다습할 때 피부의 땀구멍이 폐쇄되어 땀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작은 발진, 홍반을 의미합니다.
땀띠는 주로 머리, 목, 그리고 겨드랑이나 피부가 겹치는 부위에 많이 발생합니다.
땀띠의 예방과 치료
땀띠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는 고온다습한 환경입니다. 그러므로 시원하고 건조한 생활 환경으로 만들어주면 땀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 치료할 수 있습니다. 날이 더울 때는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시원하게 만들어 땀이 나지 않도록 해줍니다. 습기가 많을 때는 제습기를 이용합니다.
여름에는 기온이 높기 때문에 몸에서 땀이 나는 것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때문에 땀이 많이 발생하는 신체적 활동은 가급적 줄입니다.
그리고 여름에는 꽉 끼는 옷 보다는 통풍이 잘 되는 헐렁한 옷을 입어 땀이 나더라도 빨리 마르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땀을 잘 흡수하는 면 재질의 옷을 선택합니다.
땀이 많이 배출되는 신체 부위에는 파우더를 발라 건조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때 파우더를 과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땀구멍을 막을 수 있으니 적당한 양을 사용합니다. 또한 이미 땀띠가 나서 심한 상태라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땀띠의 원인 중 하나는 세균의 침입입니다. 그러므로 몸의 청결이 중요합니다. 샤워 온도는 뜨거운 것보다는 미지근한 온도가 좋습니다. 샤워 후 물기를 잘 제거해야 하는데 수건으로 피부를 문질러 닦는 방법은 피부에 자극을 주고 상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눌러서 물기를 제거합니다.
땀띠로 인한 가려움이 심할 때는 냉찜질이 좋습니다. 가렵다고 긁으면 상처가 심해지고 2차 감염의 우려가 있습니다. 이럴 때 냉찜질을 해주면 가려움이 완화됩니다.
보통은 땀띠가 발생하더라도 시원하고 건조한 환경,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 가라앉습니다. 그런데 자연적으로 치유가 되지 않을 때에는 땀띠 연고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땀띠 치료용으로 약국에서 판매하는 제품들이 있으니 약사와 상담하여 연고를 사용합니다.
약국에서 리도멕스 또는 더마큐 연고와 같은 스테로이드 연고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는 있는데 스테로이드성 연고는 사용 제한이 있습니다. 또한 땀띠와 육안으로 구별이 안가는 비슷한 피부질환인 경우도 있으니 땀띠가 가라앉지 않고 오히려 상태가 악화된다면 병원에서 진단받고 치료하는 방법이 안전합니다.
'l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 휴양 콘도 근로자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 (0) | 2022.06.29 |
---|---|
장마철 빨래 냄새 안 나게 세탁 건조 방법 (0) | 2022.06.28 |
상생임대주택 양도세 비과세 조건 케이스 정리 (0) | 2022.06.24 |
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 발급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0) | 2022.06.10 |
동요 오빠생각 작곡 작사 가사 (0) | 2022.06.09 |
댓글